배울학 대 메뉴

수질환경기사

/취업성공/연봉상승/노후준비 기술이 기회다!

QUICK MENU

    • 재수강할인
    • 단체수강할인
    • 자격증 가이드
    • 무이자할부
    • 배울학에 바란다
    • 저작권 보호 캠페인
맨위로
  • 수질 기초화학
  • 수질 기초수학
  • 수질 공학용계산기
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합격수기

수험정보/합격수기 합격수기
글 정보
제  목 전기기사 / 산업기사 2회 합격수기
작성자 이*혁 작성일자 2017.08.12

저는 전자공학을 전공한 학생으로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필기는 혼자 독학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저는 필기시험(전자기학 / 전력공학 / 전기기기 / 회로 및 제어공학 / 기술판단기준)의 경우 한 달이 조금 

 

안되게 준비하였는데요, 전자기학->회로및제어->전력공학->전기기기->기술판단기준 순으로 공부했습니다.

 

1. 전자기학

 

전자기학의 경우 경우 학교에서 배운 내용들이었기 때문에 따로 노트필기를 하여 정리를 하지는

않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공식들만 A4용지에 따로 적은 후 시간이 날 때마다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이후에는 과년도 문제풀이 위주로 공부하였습니다. 

 

2. 전력공학

 

전력공학의 경우에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던 내용들이 대부분이었고 송전용량, 송전전력, 병렬 콘덴서 등

실기와 관련된 문제들이 많았고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노트필기를 한 후 문제들을 풀면서

복습하고 이해했습니다. 

 

3. 전기기기

 

전기기기의 경우에도 전력공학과 마찬가지로 실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전력공학과 마찬가지로 노트필기를 하며 공부했습니다. 특히 각종 전동기들과 발전기와 관련된 식들을 

암기하였고,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직렬/병렬 전동기/발전기의 그림을 그리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4. 회로 및 제어이론

 

이 과목 또한 학교에서 배운 내용들이 많았기 때문에 노트필기보다는 과년도 문제들을 풀면서 공부했습니다.

 

5.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이 과목을 처음 봤을 때, 멍때렸습니다. 얼마 남지않은 시간에 이 많은 양을 다 외우기에는 무리라고 

판단하였고,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자주나오는 문제들을 외우는게 최고라고 하여

바로 문제들을 풀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20문제 중 4~5문제 정도밖에 맞추지 못했습니다.(그것도 찍어서..)

하지만 과년도 문제들을 계속해서 풀었고, 5~6 개년 정도 풀 때에는 40~55점 사이점수를 받았습니다.


필기시험이 10일정도 남았을 때 부터는 본격적으로 7개년 과년도 문제집으로 하루에 1개년도씩 

 

풀었습니다. 과년도를 풀면서 저의 경우 전기설비기술판단기준 부분이 계속 60점 미만으로 나왔는데요, 

 

양도 너무 방대하고 외우기에도 시간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최대한 과년도에서 중복해서 나오는 문제들만을 

 

외우려고 노력하였고 과락만 면하고 나머지 과목으로 메우자라는 생각으로 공부하였으며,  

 

90 / 60 / 80 / 85 / 45 점으로 최종 합격하였습니다.

 


하지만 실기는 실강/인강 없이 독학으로는 시간이 오래걸릴 뿐만아니라 운이 좋아서 기사를 딴 이후에도

 

이해가 잘 안될 수 있다는 주위사람들의 말을 듣고 '배울학'인강을 신청하고 실기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필기시험이 끝난 후 3월 첫째 주 부터 배울학 인강을 듣기 시작하였는데요,

 

기사 실기단답(윤석만 교수님) -> 수변전설비(강장규 교수님) -> 시퀀스(최완호 교수님)

 

순으로 강의를 듣고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모든 강의를 들으며 교수님들께서 판서하시는 모든 내용들을 노트에 그대로 적고 공부했습니다.

 

1차 실기를 볼때 까지 (3월8일~4월 15일) 하루에 평균 약 6시간정도 공부를 했으며(주 6일),

 

1차 실기를 본 이후에는 대학교 과제/시험때문에 바빠서 거의 공부를 못하고 2차 실기를 보기 1주일 전부터

 

필기했던 내용을 보며 이론복습 및 과년도문제풀이 위주로 공부했습니다. (참고로 1차 실기는 58점으로 불합)

 

1. 기사 실기단답

 -실기는 단답형이 생각했던 것 보다 꽤나 많이나옵니다. 예를 들면 델타-Y 결선을 이용하였을때 장단점 3가지는? / 고조파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법 3가지는? <- 이러한 자잘자잘한 문제들이 생각보다 많이 나옵니다. 쉬워 보이지만 막상 문제를 풀 때 2가지 정도는 확실하게 기억나지만 한가지가 잘 기억에 안나서 고민할 때가 많았습니다. 때문에 윤석만 기술사님의 강의를 통해서 이러한 단답문제들을 푸는 요령들을 배우셨으면 좋겠습니다. 윤석만 기술사님께서는 3가지를 쓰라는 문제에 대해서도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을때를 대비해 책에 나오지 않는 부분 4~5가지를 가르쳐 주십니다. 뿐만아니라 기본 개념이 헷갈릴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알려주셔서 처음 실기를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 수변전 설비

-만약 동일출판사 책을 이용하여 공부를 하신다면, 계속해서 단답형 문제가 나오다가 중간에 수변전 설비문제가 나와서 이건뭐지? 엄청 어려워 보인다.. 라는 생각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그랬거든요.. 처음에는 이걸 다 어떻게 외워야 하나.. 생각하고 있었는데 강장규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며, 수변전 설비가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을 잡고 강장규 교수님께서 집어주시는 문제들을 같이 풀어보니 과년도 문제들을 풀면서 막히는 문제는 거의 없었습니다. 수변전 설비문제는 매시험마다 꼭 출제가 되는 부분이니 어렵다고 생각되더라고 꼭 개념을 잡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3.시퀀스

-마지막으로 시퀀스입니다. 사실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시퀀스에 대해서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친구가 처음 직장 들어갔을때 하는 일이 시퀀스라고 하더라구요.. 물론 아닌 분들도 있겠지만.. 저도 아직 학생이지만 전자과를 나와서 시퀀스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알고 있었습니다. 때문에 단답이나 수변전설비 공부를 할 때보다는 쉽게 느껴지고 이해도 잘 되었습니다. 특히 최완호 교수님께서 본 강의를 들어가기 전에 시퀀스 내용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을 요약해 주시는 동영상이 있는데, 기초를 잡을 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잘생기고 스마트하신 윤석만교수님, 젠틀하신 강장규 교수님, 박명수같은 매력을 가지신 최완호 교수님

 

감사합니다!